-
ADR & Dialogue Editing디지털사운드기초 2022. 5. 23. 00:51
> 영화 및 영상을 위한 사운드 구성
사운드 구성은 Voice, Sound FX, Music으로 나뉜다.
먼저, Voice 파트를 알아보려 한다.
- Voice :
1) Production Dialogue, ADR, Wallah, Narration
2) 현장 녹음, ADR, Sound Design
3) 음성존재, 해설적, 독백
* 대사
- 대사의 기교적인 묘미는 영화를 보는 재미 중 하나
* 음성존재(아쿠스마티크)
- 음원은 보이지 않고 단지 들리기만 하는 소리들을 가리키는 용어
* 현장녹음(Production-Dialogue)
- 프로덕션 사운드는 촬영현장에서 녹음 되어지는 배우의 대사와 주변음을 포함한다.
* ADR(Automated Dialogue Replacement)
- 현장 녹음된 사운드의 음질이 좋지 못할 경우 포스트 프로덕션 사운드 스튜디오에서 재녹음하는 과정
* 왈라(Wallah)
- 여러 명에 의해 동시에 발화되어지는 대사, 함성 등을 말한다.
- 용도에 따라서 대사에 포함되거나 앰비언스와 같은 주변음으로 처리되기도 한다.
- 현장녹음팀에 의해 녹음되어 오는 경우가 많은데, ADR녹음 시 필요에 따라 보충녹음 실시
* 나레이션(Narration)
- 화면의 진행과는 상관없이 내러티브의 전개를 설명하거나 등장인물의 심리묘사 등을 위해 사용되어지는 대사
- 이야기를 서술해가는 기법
- 주관적, 객관적으로 설명됨
- 영상적이지 않은 요소의 가장 대표적인 것
- 문학적, 관념적, 설명적이라는 단점
> ADR의 필요성
- 현장녹음의 의존도가 높은 한국영화의 경우 ADR이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
- 촬영 당시 쇼트 종류나 공간적 문제에 의해 현장녹음이 불가능한 경우가 존재
> ADR 녹음 시 고려사항
- ADR 세션 준비 및 관리
- 현장녹음되어진 배우의 입모양과 녹음되어지는 ADR 대사의 싱크
- 마이크의 선택과 위치, 스튜디오 녹음 환경 등
> ADR 세션 준비 및 관리
1) 녹음 대본 감수 및 ADR List 작성
2) ADR 스케줄 관리
3) ADR Cue Sheet 작성
4) ADR Beep 트랙
5) 전문적인 보이스 디렉터의 활용
6) 최종 포맷 관리
> ADR 트랙의 앰비언스 처리
- ADR 트랙의 경우 스튜디오의 부스 앰비언스만 존재
- 연속성을 제공해 주지 못하는 원인
- ADR 부분의 앰비언스를 현장녹음의 룸 톤과 Wildtrack으로 대체
- 같은 컷의 다르테이크나 앞뒤의 앰비언스 중 비교적 노이즈가 적은 부분을 이용하여 ADR 트랙의 앰비언스를 대신하는 방법 : Strip Silence, Reverse
> Spatial Balance의 조절
- ADR 트랙과 현장녹음 대사트랙 간의 공간적인 밸랜스를 일치시키는 작업
- 트랙에 공간계열의 사운드 이펙터나 플러그인을 주로 사용 - Reverbrater, Delay
- 현장에서 슬레이트 사운드를 이용하여 짧은 파장을 녹음해 놓음으로써 후반작업 시 공간적 밸런스를 유지하는데 있어서 많은 도움
> Tonal Balance의 조절
- ADR 대사와 현장녹음 대사트랙 간의 음색(톤)을 비슷하게 유지시키는 작업
- 트랙에 음색계열의 사운드 이팩터나 플러그인을 주로 사용 - Equalizer, Filter
- Sound Analyzer나 Analyzer가 내장된 EQ의 활용
> Dialogue Editing Technique
1) 대사 트랙 정리
2) Dialogue Editing & Volume Balance
3) Noise Reduction 장비의 활용
4) 대사 트랙 서브 마스터의 활용
'디지털사운드기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Final Mix & ME (0) 2022.06.14 Film Music (0) 2022.05.31 Foley and SoundFX (0) 2022.05.30 Production Sound Technique (0) 2022.05.2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