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Production Sound Technique
    디지털사운드기초 2022. 5. 22. 15:37

    1. 현장녹음 팀의 구성

     

    > Single System

    - 비디오 매체와 사운드 매체가 동일한 하나의 장비에 저장

    - Microphone >> Line Mixer >> Camera

    - 일반적으로 TV 프로덕션에서 주로 사용

    - 비디오와 사운드 소스에 대한 후반 싱크 작업이 용이하며 사용이 간편하다.

    - 사운드 소스의 질적 저하, 백업 시스템의 부재, 다양한 소스의 녹음이 어렵다.

    - DP나 카메라의 기능에 따라 현장녹음이 많은 제약을 받는다.

     

    > Double System

    - 비디오 매체와 사운드 매체가 각각 다른 장비에 저장

    - Microphone >> (Line Mixer) >> Tape Recorder >> (Camera)

    - 전통적 필름 사운드 제작 방법에 주로 사용

    - 비디오와 사운드 소스가 각각의 장비에 저장되어 반드시 후반 싱크 작업이 필요

    - Single System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

     

     

    Production Sound Team은 Production Sound Director, Boom Operator, Cable Man로 나뉘어진다.

     

    • Production Sound Director : 현장에서의 녹음을 위한 계획과 과정 논의, 모든 사운드 녹음을 책임지는 현장 녹음팀의 헤드, 적절한 동시녹음 장비 및 마이크 선택, 사운드 리포트 기록 및 정리, wild track, room tone 등의 여러 소스 레코딩, 후시 소스 녹음 계획
    • Boom Operator : 동시녹음 현장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, Super Cardioid의 수음방식으로 높은 지향성을 가져 조금이라도 배우의 방향에 벗어나도 톤의 차이가 크게 나므로 정확한 마이킹 방향성이 요구됨, 배우들의 연기 동선 정확한 숙지 필요
    • Cable Man : 세컨드 붐 마이크 컨트롤, 동시녹음 레코더와 붐 마이크간의 케이블을 연결, 동시 녹음 팀간의 커뮤니케이션 장비 설치

     

     

    2. Production Sound Equipment

     

    > Sound Cart

    - 레코더의 장비를 한 카트에 모아서 현장에서 효과적인 녹음과 장소의 이동성을 위하여 필요한 장비

    - 동시녹음 기사가 위치하는 곳

    - 동시 녹음기, 포터블 믹서, 프리앰프, 컴프레서, 리미터, 사운드 기록장, 여분의 배터리 및 테이프 등을 보관

     

    > Tape Recorder

    - 아날로그 장비 : Nagra 제품을 가장 많이 사용

    - 디지털 장비 : DAT

    - 동시 녹음기의 선택은 노이즈가 적고 헤드룸이 높으며, DC의 전원으로 싱크의 안정성이 요구

     

    > Analog & Digital Recorder

    Analog : Nagra

    - 에러 발생시 데이터를 전부 잃어버리지 않는다.

    - 소리가 부드럽고 헤드룸을 크게 쓸 수 있다.

    - 자주 릴 테이프를 바꿔야 한다.

    - 테이프의 수급과 보존, 관리가 어렵다.

    - Nagra 헤드의 얼라인먼트를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.

    - 동시녹음 소스의 트랜스퍼에 어려움이 있다.

    Digital : DAT / DA-88 / Hard Disk Recorder

    - 레코딩 시간의 제약이 덜한 긴 테이프나 하드 사용

    - 테이프의 수급과 보존, 관리가 용이

    - 멀티 트랙 녹음 가능

    - 레코더의 오퍼레이팅이 쉽고, ID 기록이 간단하다.

    - 동시녹음 소스의 트랜스퍼가 간단하다.

    - 소리가 쉽게 피크로 전달되어 소리가 깨질 수 있다.

    - 에러 발생시 데이터를 모두 잃어버릴 수 있다.

    - 물리적, 전기적 안정성에 문제가 있다.

     

    > Potable Mix

    - 여러 마이크를 사용하여 2채널 혹은 멀티 채널의 레코더에 녹음할 때 사용

     

    > Microphones

    - 주로 Shot Gun 마이크로서 낮은 노이즈에, 슈퍼 카디오이드 방식의 스몰 다이어프램의 컨덴서 마이크를 사용

     

    > Wireless RF Microphones

    - 초소형에 주파수 반응이 고르며, 내구성이 강하고, 주파수의 간섭이 적으며, 잡음이 없어야 한다.

     

    > Wireless 마이크의 장점과 단점

    장점 :

    1) 시끄러운 환경 속에서도 붐마이크에 비하여 비교적 명확하고 균일한 대사 녹음 가능

    2) 붐 오퍼레이터가 마이킹 할 수 없는 공간에서도 녹음 가능

    3) 기동성이 뛰어남

    단점 :

    1) 소리가 중간 중간 끊어질 위험이 있음

    2) 배우의 의상에 따라 크게 제약을 받을 수 있음

    3) 연기 도중에 마이크를 건드릴 위험성이 붐 마이크에 비하여 큼

     

    > 와이어리스 마이크의 위치

    - 일반적으로 인물의 명치 조금 밑 부분에 설치 -> 비교적 안정적이고 균일한 대사 수음 가능

     

    > 트랜스미터의 설치

    -  벨트 뒷부분 혹은 안쪽 주머니, 바지 주머니 또는 뒷주머니 활용

    - 헤어밴드 사용

     

    > Monitoring System

    - 붐 오퍼레이터나 감독들에게 현재의 사운드를 모니터링 시켜주는 장비

     

    > Headphone & Headset

     

    > Boom System

     

    > Boom Pole

    - 앵글에 마이크를 더 가까이 카메라나 조명에 걸리지 않으면서 마이킹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막대

    - 여러가지 길이 준비 필요

     

    > Shock Mound Pistol Grip

    - 마이크의 흔들림에 잡음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.

    - 핸드 노이즈 방지

     

    > Windscreen Cover

    - 바람이나 에어 노이즈로부터 보호 가능

     

    > 기타 장비들

    - Adapters, Phase inverters, Battery Supply, Voltage Meter

    - Communication Radio, 아크릴판, 담요 등

     

    > Microphone Cables

    - 여러 가지 길이와 색상의 케이블 준비, 여분의 케이블 준비

    - 내구성이 강해야하고 꺾임이나 꼬임에 강해야 함

     

     

    3. Production Recording 진행과정

    카메라와 조명 세팅 -> 오디오 세팅

    "사운드" -> "스피드" -> "카메라" -> "롤링"

    항상 레코딩이 끝나면 사운드 기록장에 사운드 기록 필수

     

    > Line-up Tone

    - 항상 현장에서 새로운 테이프로 녹음을 시작하거나, 새로운 씬을 녹음할 때는 사운드 레벨의 기준이 되는 톤을 레코딩해야 한다.

    - 테이프에 10-15초 정도로 1Khz의 레퍼런스 톤을 0dBVU로 레코딩해야 함

     

    > Sound Report

    - 현장 녹음에서 가장 중요한 일 중의 하나

    - 모든 사항 자세히 기록

     

     

    4. Production Recording Technique

     

    > Miking Technique

    1) 하나의 마이크로 2명의 배우 대사 레코딩

    2) 2개 이상의 마이크를 이용하는 레코딩 방법

    3) 배우의 연기 동선에 따라 붐 맨도 함께 이동하는 경우

    4) 스테레오 마이킹 - MS 혹은 XY 방식 사용

     

    > 붐 폴 테크닉

    - 오버헤드 테크닉이 실질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으로, 머리 위쪽에 카메라의 앵글을 벗어난 곳에서 대사가 나오는 쪽을 지향하는 방법

     

    > 룸 톤과 와일드 트랙 녹음

    - 현장 녹음 시 믹서는 후반사운드 작업에서 벌어질 수 있는 여러 가지 상황 고려 필요

    - 현장에서 깨끗한 소리를 녹음하지 못하는 경우 항상 와일드 트랙을 녹음해 놓는 것이 좋다.

    - 현장 앰비언스를 녹음해놓으면 좋음

     

    > Custom Recording

    - 별도 장소 헌팅하여 로케이션 레코딩

    - 세트 촬영이나 CG의 의존도가 높은 작품에서 소스를 구할 수 없는 경우 주로 사용

     

     

    5. Production Recording 후반작업

     

    > 현장녹음의 전달

    > 현장녹음 데이터 정리

    > 현장녹음 Pull Down & Pull Up

    '디지털사운드기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    Final Mix & ME  (0) 2022.06.14
    Film Music  (0) 2022.05.31
    Foley and SoundFX  (0) 2022.05.30
    ADR & Dialogue Editing  (0) 2022.05.23
Designed by Tistory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