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Final Mix & ME디지털사운드기초 2022. 6. 14. 01:12
[Basic Mixer Terminology]
- Input이란?
Mixer나 오디오 인터페이스와 같은 오디오 하드웨어 장비로 들어가는 오디오 시그널의 이동 경로
- Output이란?
Mixer나 오디오 인터페이스와 같은 오디오 하드웨어 장비에서 나오는 오디오 시그널의 이동 경로
- Insert란?
개별적인 인풋이나 트랙으로부터 아웃풋으로 전달되는 오디오 시그널의 이동 경로 사이에 플러그-인이나 하드웨어 타입으로 삽입되어 이펙터를 사용할 수 있는 시그널 패치 포인트
=> Plug-In Insert / Hardware Insert
- Sends & Returns
> Send(Aux) : 다른 수신장비로 전송되는 하나 이상의 오디오 트랙에 대한 Mix Output을 위해 사용되는 용어
*Pre-Fader : send 레벨이 채널의 fader 레벨과 관계 없음
*Post-Fader : send 레벨이 채널의 fader 레벨에 영향 받음
> Return(Aux) : Send 시그널이 원하는 오디오 장비의 Input으로 수신될 때, 일부 effect는 시그널에 추가되고, 시그널은 오리지널 전송장비로 다시 돌아오는 것
- Bus란?
하나 이상의 다른 소스로부터 시그널을 결합하는 audio pathway로, 물리적인 input이나 output 커넥터를 가지고 있지 않는 대신에, 오디오 시스템에서 내부적으로 다중 소스를 결합하는 간단한 signal path
- Master Fader
Mixing 과정 동안 단일 fader로부터 동일한 Output으로 지정된 다중채널을 컨트롤하기 위해 사용됨
[Sound Post-Production]
Dialog and ADR / Sound Effects / Foley / Music => Pred-Dubbing(Pre-Mixing) => Dub stage Final Mix => Composite Output Mix => Dolby Surrround / Dolby Pro Logic / Dolby Digital / DTS / Music and Effects / Stereo / Mono
[Final Mixing]
최종 믹싱 : 극장용 영화, TV, 라디오, 그리고 음악 녹음에서 개별적인 오디오 트랙(대사, 폴리, 앰비언스, 이펙트, 음악 등)들을 두 개(스테레오)나 그 이상(서라운드)의 마스터 트랙으로 합치는 과정
-> 해결되지 않은 문제점들을 손볼 수 있는 마지막 기회
> Final Mixing의 목적
- 기존의 오디오 트랙 음질 및 스타일 향상
- 레벨의 균형 유지
- 특수 효과 처리
- 인공적 음향공간 표현 가능
- 청각 구조 안에 소리 배열
- 청각적 관점 확립
- 오디오의 전체적 소리 완성도 유지
> Final Mixing 작업
1) 예술적 관점 유지
2) 여러 매체를 위한 믹싱
3) 믹싱 대 레이어링
*사운드의 믹싱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중요 목표 4가지
- 집중과 보는 시점을 설정하기 위한 주된 소리와 보조 소리 결정
- 공간과 거리의 관계 설정 위해 소리 위치 배정
- 소리의 스펙트럼 균형을 유지하여 청각정 공간이 적당히 무게를 가지도록
- 전체적인 정의를 잃지 않고 각 사운드의 정의 보전
4) 소리의 공간적인 이미지
*서라운드 믹스 제작을 위한 기본 기기
- 콘솔이나 하드 디스크 시스템
- 앰프와 스피커
- 녹음기
- 부호와 기기
5) Mix의 기본 5단계
밸런스 -> 파노라마 -> 다이나믹 -> 공간감 및 깊이감 -> 재미요소 (밸파다공재~)
6) Down Mixing & Mastering
7) 큐시트
8) 스테레오에서 모노로의 호환성
[M&E(Music & Effects) 작업]
M&E : 해외 수출 등을 목적으로 마스터에서 대사 부분을 제외한 믹싱본
1) 해외 배급을 위한 영화영상 제작 포맷
- Tape Sign의 규격화
- 최종 Print Master Tape 제작의 표준화
- Clean Master Tape / Textless Clip 제작
- 해외 배급 및 재 제작을 위한 영상물 번역
- 사운드 M&E 작업 및 Mastering 포맷
2) 스테레오 사운드 M&E 작업 Mastering 유형
- 스테레오 M&E 마스터 트랙 레이어1(드라마, 영화 등)
- 스테레오 M&E 마스터 트랙 레이어2(다큐멘터리, 교양물 등)
- M&E Stem 마스터 트랙 레이어(해외 유통에 대한 음악 저작권이 문제되는 경우)
'디지털사운드기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Film Music (0) 2022.05.31 Foley and SoundFX (0) 2022.05.30 ADR & Dialogue Editing (0) 2022.05.23 Production Sound Technique (0) 2022.05.22